(3월 13일) 안나 네트렙코와 플라시도 도밍고의 일 트로바토레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공지

[음악자료실] (3월 13일) 안나 네트렙코와 플라시도 도밍고의 일 트로바토레

클라라하우스
2016-02-28 01:43 169 0

본문

​3월 13일 일요일 오후 3시

 

시네오페라는

마리아 칼라스 이후 가장 대중적인 소프라노라고 일컬어지는

러시아 출신의 안나 네트렙코가 열연한

베르디의 <일 트로바토레>로 함꼐 합니다.

 

특히 3월 12일 예술의전당에서

첫 내한공연을 펼치는 터라 더 의미가 깊습니다.

올해 내한하는 성악가 가운데 가장 중량감 있는 대형 가수입니다.

 

리릭-드라마틱 소프라노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주인공 레오노라를 연기하는

네트렙코의 목소리는 이제 절정에 다다른 느낌입니다.

질다와 수잔나로 시작해

이제 레오노라(일 트로바토레), 데스데모나(오텔로), 레이디 맥베스(맥베스)로 지경을 넓히며

드라마틱한 면모를 과시하고 있는 네트렙코.

한 배역도 감당하기 어려운데 레제로에서 리릭을 거쳐 드라마틱으로 목소리를 바꿔가는

그녀의 성장은 혀를 내두를 정도로 엄청난 것입니다.

 

나이들어 고음에 잘 나지 않는 플라시도 도밍고는 '본업'인 바리톤으로 돌아와

제 2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그가 부르는 루나 백작은 70을 훌쩍 넘긴 그의 인생만큼이나 설득력 있습니다.

다니엘 바렌보임이 지휘하는 베를린 국립 오페라의 무대 또한 대단히 사실적입니다.

 

근래 나온 일 트로바토레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은 영상물입니다.

시네오페라는 이 가운데 하이라이트만 모아

해설 포함 2시간 안에 상영을 끝냅니다.

시간적인 부담도 줄이고

핵심적인 내용은 다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오늘 드디어

내한공연을 하는 네트렙코...

 

내일 클라라하우스 시네오페라는

최신영상의 '일 트레바토레'로 네트렙코를 만나봅니다.

베를린 슈타츠오퍼로 여행을 떠나보겠습니다.

 

아래 아티클은 유혁준 음악칼럼니스트가

월간객석 3웧호에 기고한 네트렙코 인터뷰 및 삶과 음악에 대한 글입니다.

클라라하우스(대전) 드림

 

698.jpg
 

699.jpg
3월 12일 예술의전당 내한공연 포스터입니다.

 

월간객석 20163월호

 

 

파바로티 이후 오페라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 안나 네트렙코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는 지난해 12월 빈의 화려하기 그지없는 팔레 코부르크(Palais Coburg)에서 아제르바이잔 출신의 테너 유시프 에이바조프와 결혼식을 올렸다. 1년 이상 결혼을 준비한 네트렙코 커플은 당초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식을 올리기로 했지만 세계 각지에서 온 하객들을 배려해 빈을 택했다. 이날 네트렙코는 18캐럿 백금반지와 다이아몬드 티아라로 화려함을 뽐냈다. 2011년 윌리엄 왕자와 케이트 미들턴의 결혼식에서 선보였던 바로 그것이었다. ‘디바의 결혼식은 세계 성악계의 주요 이슈였다. 플라시도 도밍고를 포함, 180명의 하객들은 식이 끝나고 빈 외곽의 리히텐슈타인 궁전에서 밤늦게까지 불꽃놀이를 즐겼다.

 

올해 45세의 네트렙코는 이번이 첫 결혼이 아니었다. 20084월 우루과이 바리톤 어윈 슈로트와 결혼한 네트렙코는 그해 9월 아들 티아고를 낳았다. 네트렙코는 슈로트와 자신을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 부부에 비교하며 애정을 과시했지만 6년 만인 201311월 파경을 맞았다. 이듬해 2월 네트렙코는 로마 오페라하우스의 마농 레스코리허설 현장에서 상대역인 데 그리외 역을 맡았던 6년 연하의 에이바조프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그리고 5개월 뒤 약혼했다.

 

 

오페라 연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지도자로 유명한 스코트 바네스는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세상을 떠난 후 오페라계에서 가장 위대한 성악가로 네트렙코를 꼽았다. 음악적인 면에서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마리아 칼라스 이후 네트렙코만큼 영향력 있는 소프라노는 없다고 할 정도다. 현재 네트렙코가 출연하는 오페라와 리사이틀은 거의 매회 매진이다. 수잔나와 미미에서 데스데모나와 레이디 맥베스를 아우르는, 거의 한계가 없는 배역과 폭넓은 음역, 그리고 팔색조처럼 변화하는 음색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네트렙코가 드디어 3월 우리 무대에 선다.

 

 

네트렙코는 1971년 러시아 남쪽 흑해 연안의 크라스노다르에서 태어났다. 위로는 언니가 있었고 아버지 유리 네트렙코는 지질학자, 어머니는 전자통신 분야의 엔지니어였다. 네트렙코는 나무를 심으면 5분 안에 자라요.” 라며 비옥한 고향 땅을 아직도 자랑스럽게 여긴다. 지금도 러시아 군 내의 합법적인 민병대로 크렘린 궁의 비호를 받고 있는, 용맹하기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쿠반 카자크인의 피가 네트렙코의 집안에 흐르고 있었다. 이러한 와일드한 기질은 가장 최근에 발매된 네트렙코의 맥베스영상을 보면 그대로 드러난다. 4, 맥베스 부인의 몽유병 장면에서 네트렙코가 피를 토하듯 읊는 절절한 고백은 베르디가 말한 드라마틱 소프라노의 전형이다. 마리아 칼라스, 리오니 리자네크의 노래에서 느껴지는 소름 돋는 전율이 밀려오는 것이다.

 

고전음악을 즐겨 듣는 부모 아래서 자연스럽게 피아노를 배우던 네트렙코는 7세에 크라스노다르의 합창단 쿠반 파이어니어(Kuban Pioneer)’에서 발군의 실력을 뽐내기 시작했다. 네트렙코가 러시아 음악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떠난 것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2년 동안 음악학교에서 타티아나 브리소브나에게 노래의 기초를 배운 그녀는 마침내 199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해 타마라 노비첸코 문하에서 성악의 모든 것을 습득한다. 노비첸코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리릭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이자 1972년부터 음악원에서 숱한 제자를 길러낸 명교수다.

 

스몰렌스크에서 열린 전 러시아 연방 글린카성악 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머쥔 네트렙코는 1993년 마린스키 극장 오디션에 응시해 발레리 게르기예프 앞에 섰다. 게르기예프는 2년 전 그녀가 아르바이트로 마린스키 극장의 바닥을 청소하던 모습을 기억했다. 이듬해 네트렙코는 마침내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로 꿈에 그리던 마린스키 극장에서 데뷔무대를 장식하기에 이른다. 이후 러시아 오페라 또한 그녀의 전유물이었다. ‘루슬란과 류드밀라’, ‘수도원에서의 약혼’, ‘황제의 신부등 데뷔 초기 마린스키 극장과 함께한 네트렙코의 러시아 오페라는 서유럽 가수들이 접근 불가능한 다소 어둑한 분위기의 발성을 들을 수 있다.

 

199523세의 네트렙코는 해외 데뷔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이룬다. ‘루슬란과 류드밀라의 류드밀라 역이었다. 또한 리골레토의 질다, ‘라 보엠의 미미, ‘청교도의 엘비라 등 벨칸토 오페라에서부터 담금질을 계속했다. 2002년 네트렙코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전쟁과 평화나타샤로 데뷔한다. 같은 해 잘츠부르크 축제에 나타나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가 지휘하는 돈 지오반니의 돈나 안나를 맡아 호평을 받았다. 2003년은 뮌헨에서 라 트라비아타의 비올레타를 불러 리릭 소프라노로서의 첫 발을 내딛었다.

 

네트렙코가 국내에 강렬한 인상을 주며 존재감을 알린 것도 비올레타를 통해서였다. 2005년 잘츠부르크 축제에서 빌리 데커가 연출한 라 트라비아타는 아직도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힌다. 롤란 비아손과 찰떡궁합을 이룬 이 영상물은 흑백으로 도배한 무대와 출연진 속에 홀로 붉은색 드레스를 입은 네트렙코의 활약이 눈부시다. 비아손과는 사랑의 묘약’(2005), ‘마농’(2007), ‘라 보엠’(2008)에서도 완벽한 호흡을 보이며, 노래 뿐 아니라 배우를 능가하는 연기로 혼연일체를 이뤘다.

 

20089월 아들 티아고를 출산하고 체중도 늘어나면서 네트렙코의 목소리는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제 예쁜 목소리와 리얼한 연기 뿐 아니라 삶의 연륜이 실린 묵직한 저음과 고음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팔방미인으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 이는 그녀의 팬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행운이었다. 우선 벨칸토와 모차르트 위주의 레퍼토리에서 벗어나 드라마틱한 배역을 소화하면서 선곡의 스펙트럼이 무궁무진해진 것이다. 그 첫 신호탄은 2009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루치아였다. 당시 뉴욕 타임즈는 광란의 장면극히 현실적이고 완벽한 표현력은 마리아 칼라스를 떠올리게 했다.’ 라며 극찬했다.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키우면서 네트렙코는 여성으로서도 더 한층 공고해지고 있었다.

 

네트렙코는 2010년을 넘어서면서 묵직한 인물에 한발 더 다가섰다. 2011년 빈 국립오페라에서 열연한 안나 볼레나2막에서 불꽃으로 타오른다. 자신의 이름과 동일한 안나와 엘리나 가랑차가 부른 조반나는 여대여(女對女)’의 피를 토하는 이중창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신이시여에서 이상적인 앙상블을 들려주었다.

 

2013년 다니엘 바렌보임이 지휘하는 베를린 국립오페라에서 막을 올린 일 트로바토레는 네트렙코의 레오노라에 대해 대호평이 이어졌다. 내한공연을 앞두고 이메일 인터뷰에서 네트렙코는 레오나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최근에 공연한 작품 가운데 제가 가장 아끼는 것이 레오노라입니다. 길고 어렵기 짝이 없지만 숨 막힐 만큼 놀랍습니다.” 그리고 201411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맥베스에서 네트렙코의 이러한 광폭행보는 정점을 찍었다. 2006년 잘츠부르크 축제에서 수잔나를 불렀던 같은 가수라고 믿기 힘든 엄청난 스케일감이 곳곳에서 번득인다.

 

목소리의 변화에 대해 네트렙코는 목소리는 출산 후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물론 예전에 불렀던 레퍼토리도 할 수 있지만 나이가 들고 더 현명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소녀와 공주보다 심각하고 격정적인 역할이 더 제게 맞는 것 같습니다. 이건 흥분되는 일이고 완전히 새로운 영역입니다. 훨씬 많은 육체적, 정신적인 힘이 들지만 연기하는 것은 행복합니다.” 라며 오히려 즐기고 있음을 알게 했다. 그러나 레지에로에서 리릭을 거쳐 드라마틱으로의 전환은 상당히 기교적으로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네트렙코는 이렇게 말했다.

 

나도 기술적인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 노래하는 원리는 동일하죠. 물론 각각의 배역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지요. 하루는 바그너, 다음날은 노르마를 부르기는 불가능합니다. 미리미리 특별한 보컬 트레이닝은 필수입니다. 적어도 한두달 전에 내가 부를 인물에 목소리를 적용시키고 연습합니다. 그 기간 동안 나는 그 오페라 작곡가에게 나의 모든 환경을 맞추고 몰입하죠. 하루에 한 레퍼토리에서 다른 레퍼토리로 옮겨 다닐 수 없어요. 목소리에 치명적인 무리가 오게 되죠. 대신 해당 배역에 초점을 두고 점점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 가는 겁니다. 그래야 완벽한 결과를 얻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피나는 노력으로 미미에서 안나 볼레나로, 맥베스 부인으로 한 계단씩 올라갔음을 알 수 있었다.

 

 

결혼과 출산, 그리고 이혼과 재혼, 이 과정을 거치면서 네트렙코는 서서히 강렬하고 비극적인 캐릭터에 근접해갔다. 이 모든 것은 인간 네트렙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 누구보다도 가정에 충실하고 아이 돌보는 것을 좋아하는 그녀의 따뜻한 인간미는 오페라 주인공의 가슴속으로 파고 들어가 우리에게 감동을 전해주고 있다. 네트렙코는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국제 SOS-어린이 마을지부와 러시아 어린이 복지재단에 매년 거액을 기부하고 있다. 러시아 언론에 의하면 네트렙코의 재산은 현재 40억원 가량이고 1회 연주료는 6천만원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네트렙코는 현재의 위치에 자만하지 않고 겸손한 미덕으로 자신을 늘 다독이고 있다.

 

네트렙코는 무리하지 않고 자신이 소화할 만큼의 공연 일정을 짜는 것으로 유명하다. 3월 우리나라를 비롯해 홍콩, 일본, 대만에서의 리사이틀이 끝나면 4월 한 달은 오로지 가족과 함께 보낼 예정이다. 5월은 드레스덴 젬퍼오퍼의 로엔그린’, 6월은 빈 국립오페라의 마농 레스코’, 7월은 베를린 국립오페라의 일 트로바토레’, 8월은 잘츠부르크 축제에서 마농 레스코를 부른다.

 

 

오늘 저녁 이 자장가의 기억이 떠올라. 외로운 들판 위에 울며 노래하며, 슬픈 소녀. 오 버들! 버들! 버들이여! 노래를 불러요. 흐느끼는 버들은 내 화간이 될거야...”

 

2004년에 발매된 네트렙코의 2번째 CD '언제나 자유롭게' 가운데 베르디 오페라 오텔로’ 4막에서 데스데모나가 죽음을 앞두고 부르는 버들의 노래를 들어보라. 가슴 저미는 네트렙코의 저음은 절로 고개를 숙이게 한다. 이어지는 아베 마리아에서 우리는 어쩌면 눈물을 삼키게 될지도 모른다. 베르디와 푸치니는 물론 드보르자크와 칠레아에 이르는 이번 내한 공연 프로그램은 네트렙코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 유혁준 음악칼럼니스트

 

702.jpg
레오노라와 루나 백작으로 분한 네트렙코와 도밍고

 

703.jpg
 

704.jpg
2막 집시들의 합창(대장간의 합창)의 사실적인 무대

 

705.jpg
완벽한 연기를 펼치는 네트렙코

 

706.jpg
 

 

700.jpg
 

701.jp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