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일정] 유혁준의 음악이야기 11월-12월 강의일정 [대전 서울 부산]
본문
유혁준의 음악이야기 강의일정
<대전 클라라하우스>
(매주 월요일 오후 2시 30분, 저녁 7시 30분)
1회 청강 가능(청강료 3만원), 문의: 042-861-5999
11월 6일 * 영화 속의 클래식 - 스탠리 큐브릭의 <배리 린든>⓵
- 인공조명을 일체 쓰지 않은 색체미학의 극치
- 헨델의 사라방드, 그 그원과 발전
11월 13일 * 영화 속의 클래식 - 스탠리 큐브릭의 <배리 린든>⓶
- 베리가 린든이 되기까지의 여정, ‘Beauty Spot’의 역사
- 슈베르트 피아노 3중주 D.929 비교 감상
11월 20일 * 영화 <배리 린든> 상영회
11월 27일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새로운 발견 ⓵
- 베르디의 에덴동산 ‘산타 아가타’를 가다
- 파르마 왕립극장, 마린스키극장, 칼리아리 리리크극장의 프로덕션 현지 취재 비교
12월 4일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새로운 발견 ⓶
- 비올렛타는 가진 자들의 희생양으로 죽어가나?
- 비올렛타의 실존인물 마리 뒤플레시스의 무덤 앞의 꽃들
- 19세기와 현대사회의 비올레타와 알프레도
12월 11일 * 뒤셀도르프에서 슈만을 만나다 (저녁반 휴강)
- 슈만의 마지막 삶의 종착지 뒤셀도르프
- 교향곡 3번 ‘라인’과 첼로 협주곡의 탄생
12월 18일 * 뒤셀도르프에서 슈만을 만나다 (오후반 휴강)
- 슈만의 마지막 삶의 종착지 뒤셀도르프
- 교향곡 3번 ‘라인’과 첼로 협주곡의 탄생
12월 25일, 1월 1일 공휴일 휴강
<서울 음악산책>
(매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저녁 8시)
1회 청강 가능(청강료 35,000원), 문의: 010-9179-0363
11월 15일 * 영화 속의 클래식 - 스탠리 큐브릭의 <베리 린든>⓵
- 인공조명을 일체 쓰지 않은 색체미학의 극치
- 헨델의 사라방드, 그 그원과 발전
11월 22일 * 영화 속의 클래식 - 스탠리 큐브릭의 <베리 린든>⓶
- 베리가 린든이 되기까지의 여정, ‘Beauty Spot’의 역사
- 슈베르트 피아노 3중주 D.929 비교 감상
11월 29일 * 뒤셀도르프에서 슈만을 만나다
- 슈만의 마지막 삶의 종착지 뒤셀도르프
- 교향곡 3번 ‘라인’과 첼로 협주곡의 탄생
12월 6일 * 시벨리우스를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만나다 (오전반 휴강)
- 시벨리우스 학파의 창시자이자 종결자
- 거장의 자존심, 민요 선율을 그대로 드러낸 유일한 작품
- 신비주의와 러시아 식민지의 아픔, 아이노의 사랑
- 1991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녹음된 1904년 초연 악보 감상
12월 13일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새로운 발견 ⓵
- 베르디의 에덴동산 ‘산타 아가타’를 가다
- 파르마 왕립극장, 마린스키극장, 칼리아리 리리크극장의 프로덕션 현지 취재 비교
12월 20일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새로운 발견 ⓶
- 비올렛타는 가진 자들의 희생양으로 죽어가나?
- 비올렛타의 실존인물 마리 뒤플레시스의 무덤 앞의 꽃들
- 19세기와 현대사회의 비올레타와 알프레도
12월 27일 * 마린스키 발레 <라 바야데르>
- 낭만발레의 또 하나의 걸작, 인도귀신 ‘셰이드’
- 마리우스 프티파의 숨결이 그대로 전해지는 절대지존의 마린스키 발레
<대전 클라라하우스 제8회 LP감상회>
*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 라파엘 쿠벨리크, 바츨라프 노이만, 지휘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11월 25일(토) 오후3시 * 전석 15,000원
* 오디오 시연회: B&W 800D3 스피커(예정)
<부산문화회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문의: 051-607-6060
11월 14일 * 영화 속의 클래식 ‘샤인’ ⓵
- 아버지의 음악 ‘라흐마니노프’, 아들의 음악 ‘비발디’
- 음악으로 먼저 완벽한 영화감독의 천재성
- 기인 피아니스트 프랑수아 르네 뒤샤블의 쇼팽 연주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의 절대명연 감상
11월 28일 * 영화 속의 클래식 ‘샤인’ ⓶
- 비발디는 ‘사계’ 만의 작곡가일까?
- 사생아의 도시 베네치아와 비발디
- 비발디 교회음악 집중 탐구
12월 5일 * 시벨리우스를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만나다
- 시벨리우스 학파의 창시자이자 종결자
- 거장의 자존심, 민요 선율을 그대로 드러낸 유일한 작품
- 신비주의와 러시아 식민지의 아픔, 아이노의 사랑
- 1991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녹음된 1904년 초연 악보 감상
12월 12일 * 거장의 숨결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20세기 모차르트의 재발견
- 레오폴트 2세의 계보를 잇는 황족 가문
- 가장 인간적이고 가장 겸손했던 거장의 삶
12월 19일 종강 * 크리스마스와 연말에 듣는 음악들
- 유럽 각 국의 크리스마스 음악 둘러보기
- 캐럴의 역사와 명연주
- 푸치니 ‘라 보엠’과 훔퍼딩크 ‘헨젤과 그레텔’
댓글목록0